본문 바로가기
돈벌어보자!/종목뉴스

기아, 5월 23만4554대 판매…전년比 4.9% 감소

by 바방 2022. 6. 3.
반응형

기아, 5월 23만4554대 판매…전년比 4.9% 감소 ::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 (newsis.com)

 

기아, 5월 23만4554대 판매…전년比 4.9% 감소

[서울=뉴시스] 정윤아 기자 = 기아는 올해 5월 글로벌 시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4

www.newsis.com

 

 

 

 

 

기아, 연식변경 ‘더 2023 모닝’ 출시… 1220만원부터 - 조선비즈 (chosun.com)

 

기아, 연식변경 ‘더 2023 모닝’ 출시… 1220만원부터

기아, 연식변경 더 2023 모닝 출시 1220만원부터

biz.chosun.com

 

 

 

 

 

기아, 왜 택시 시장 보나? ‘택시산업은 자동차 산업 볼륨이자 베이스’ - 스포츠경향 | 뉴스배달부 (khan.co.kr)

 

기아, 왜 택시 시장 보나? ‘택시산업은 자동차 산업 볼륨이자 베이스’

기아가 미래 자동차 산업 볼륨으로 ‘전기차 개인택시’ 시장을 육성할 것으로 보인다. 1일 기아는 이러한...

sports.khan.co.kr

 

 

 

 

 

기아 첫 PBV 니로플러스 출시…8000대 사전계약 | 한경닷컴 (hankyung.com)

 

기아 '첫 PBV' 니로플러스 출시…8000대 사전계약

기아 '첫 PBV' 니로플러스 출시…8000대 사전계약, 12영업일간 8000대 접수 도심 기준 주행거리 433km 택시 '올인원 디스플레이' 탑재 가격 4420만원부터

www.hankyung.com

 

 

 

 

 

기아 EV6, 유로 NCAP 평가서 '최고 안전 등급' 획득 - 전자신문 (etnews.com)

 

기아 EV6, 유로 NCAP 평가서 '최고 안전 등급' 획득

기아는 EV6가 유럽 신차 안전성 평가 프로그램인 유로 NCAP에서 최고 등급인 별 다섯을 획득했다고 27일 밝혔다. 지난해 유로 NCAP 테스트에서 별 다섯 안전성을 획득한 현대차 아이오닉 5에 이어 EV6

www.etnews.com

 

반응형

 

 

 

 

 

 

1Q22(P): 매출액 18조 3,570억원, 영업이익 1조 6,060억원
영업이익, 당사 추정(1조 2,360억원) 및 Consensus(1조 2,590억원) 상회
1Q22 판매대수는 68.6만대를 기록하며 yoy -1% 감소. 국내 판매가 -6%, 러시아 권역 판매가 -37% 감소했으나 유럽 판매가 +9%, 중남미 판매가 +46% 증가하며 전체 판매대수 감소 폭을 제한. 유럽 시장 점유율이 분기 기준으로 5.3%를 기록하며 yoy +1.6%p 확대됐으며 종전 최고치였던 5.1%(3Q21)를 넘어서. 2019~2020년 지속적으로 증가하던 RV 판매 비중이 2021년 들어서 주춤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1Q22 60%를 상회(61.3%). 다만, RV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높은 차종의 생산 차질이 발생했고 중소형 차급(A~C) 판매 비중이 상승하며 차종별 Mix 부문은 영업이익 감소로 이어진 것으로 관측. 전년동기대비 주요 변수 변화에 따른 영업이익 변동폭은 1)환율 +3,410억원, 2)판매대수 감소 -290억원, 3)ASP/Mix 변화 +4,460억원, 4)비용 증가 등 -2,280억원으로 파악.

▶궤는 유사하지만 차이는 존재
같은 날 실적발표를 한 기아 현대차 모두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영업이익 시현. 양사 모두 영업이익이 yoy 증가한 가운데 주된 요인으로 환율, 판매단가 상승을 꼽을 수 있어. 마이너스 영향을 미쳤던 요인으로는 판매대수 감소와 비용 상승 있어. 현대차의 경우 국내 아산공장 설비 공사를 위한 가동 중단 등의 요인이 있었으나 주요 권역에서 기아가 상대적으로 선방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어. 또한, 비용 통제 측면에서도 전년동기대비 기아는 매출액 대비 판관비 비중이 감소한 반면 현대차는 증가하는 등 매출액 및 영업이익의 전체적인 궤가 유사한 가운데 차이는 존재.

▶Valuation, 상대적 매력 여전히 존재
2022년 판매대수 전망을 -3% 하향 조정. 2021년부터 현 시점까지 지속되고 있는 원자재 가격 상승은 하반기부터 부담이 될 수 있는 환경. 하지만 우호적인 환율 환경과 여전히 수급적인 측면에서 수요 대비 우위를 점하며 판매단가 상승 등이 가능하다는 점은 이익을 방어할 수 있는 요인. 또한, 3월 중순 이후 이어진 주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Valuation 측면에서 상대적 매력을 지니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