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벌어보자!/종목뉴스

마크로젠, 미국 생물보안법·한국 정부사업 참여 기회

by 바방 2024. 6. 24.
반응형

 

 

대신證 마크로젠, 미국 생물보안법·한국 정부사업 참여 기회 | 아주경제 (ajunews.com)

 

대신證 마크로젠, 미국 생물보안법·한국 정부사업 참여 기회 | 아주경제

대신증권은 24일 유전체 분석 기술 기업 마크로젠에 대해 분석한 보고서를 통해 이 회사의 경쟁력이 개선되고 있고 대내외 우호적 시장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고 긍정적...

www.ajunews.com

 

 

 

 

 

 

"유전자기반 건기식 추천"…마크로젠·에프아이 업무협약 ::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 (newsis.com)

 

"유전자기반 건기식 추천"…마크로젠·에프아이 업무협약

[서울=뉴시스]송연주 기자 =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마크로젠은 개인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추천 솔루션을 제공하는 에프아이소프트와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마크로젠의 건강관리

www.newsis.com

 

 

 

 

 

 

디지로카 앱, 유전자 검사 서비스 7월 도입…롯데카드-마크로젠 업무협약 - 뉴스1 (news1.kr)

 

디지로카 앱, 유전자 검사 서비스 7월 도입…롯데카드-마크로젠 업무협약

(서울=뉴스1) 신민경 기자 | 롯데카드는 10일 헬스케어 기업 마크로젠과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디지로카 앱에 마크로젠 젠톡 유전자 검사 서비스를 7월 중 도입한다고 11일 밝혔다.양 사는 이번 협

www.news1.kr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27,000원으로 -10% 하향

목표주가는 25년 추정 EBITDA 261억원과 순현금 291억원을 합산한 기업가치 (EV)에 글로벌 Peer 평균 EV/EBITDA 12.2배를 적용. 유사기업은 NGS 사업을 영 위하는 일루미나, 유로핀, 노보젠을 선정. 최근 유전체 분석 산업이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유사기업 밸류에이션 멀티플이 하락세를 보여 목표주가 -10% 하향

 

아직 실적 개선 속도는 미진하나, 기업의 경쟁력은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

1Q24 매출액 316억원(YoY-5.4%), 영업손실 -12억원(YoY 적전. 매출총이익률은 전년 동기 대비 3%p 개선되었으나, 판관비 및 대손상각비 증가로 영업손실 기록 국가 연구개발비 삭감 및 병원 파업으로 외형 성장 부진하였으며, 신규 인력 채용, 신규 장비 투자로 비용 상승. 24년은 내실을 다지는 기간으로, 본격 실적 성장은 25년이란 의견 유지. 24년 매출액 1,370억원(YoY+3.2%), 영업이익 67억원(OPM 4.9%), 25년 매출액 1,589억원(YoY+16%), 영업이익 120억원(OPM 7.6%) 기대 최신 시퀸싱 장비(Novaseq X+, UG 100)에 투자하여 생산 Capa 확대 및 분석 단 가 경쟁력 확보. 향후 1) 해외 시장 점유율 확대, 2) 고부가가치 싱글셀 분석, 3)국 가 프로젝트 참여 등을 통해 NGS 매출 확대에 주력. 아울러 DTC 유전체 분석 플 랫폼을 해외로 확대하고, 자동화/AI 기술을 접목해 프로세스 효율화를 추구

 

향후 모멘텀: 생물보안법(Biosecure Act) 수혜 +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사업

[생물보안법] Biosecure Act는 CDMO인 Wuxi 뿐만 아니라 유전체분석 기업인 BGI(MGI, Complete Genomics) 역시 타겟. 주로 미국산 장비를 사용하는 마크로젠 에게 유리한 사업 환경. 중국산 장비 및 서비스 활용한 데이터가 미국에서 배제되 는 상황이 본격화되면 동사의 해외 시장 점유율 확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

[정부 프로젝트] 24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는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사업은 안정적인 매출 기반이 될 것. 정부 주도로 77만명 규모의 방대한 데이터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대규모 시퀀싱 수요가 발생할 것이고, 마크로젠은 업계 선도 기 업으로서 이를 선점할 수 있는 위치이기 때문. 최근 확보한 최신 장비와 개선된 분 석 역량을 활용한다면 수익성 측면에서도 크게 개선될 수 있을 전망 Biosecure Act로 인한 글로벌 시장에서의 점유율 확대 가능성, 한국 정부 주도의 대규모 프로젝트 참여 등 대내외 환경이 동사에게 우호적으로 조성되어 가는 중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