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9급 공무원/한국사53

한국사 정리 / 삼별초의 항쟁과 원간섭기 13. 삼별초의 항쟁과 원간섭기 ● 삼별초의 대몽 항쟁(1270 ~ 1273) - 원종 11년 개경으로 환도 -> 몽골의 간섭을 받게 되었다. - 강화도에서 배중손의 주도로 승화후 온을 왕으로 추대함 - 진도로 남하하여 용장성을 쌓고 항전하였으나, 김방경이 이끄는 여,몽 연합군의 공격으로 배중손이 전사하였다. - 김통정의 지휘 아래 제주도로 이동하여 항쟁 -> 삼별초가 진압 당한 후 제주도에 탐라총관부 설치(1273) ● 원 간섭 이후 정치적 변화 - 원의 일본 원정에 고려군 동원 : 정동행성 설치 - 원의 영토 확보 : 쌍성총관부, 탐라총관부 - 쌍성총관부는 공민왕 시기에 무력으로 수복함 - 관제 변경 : 중서 문하성, 상서성은 첨의부로 개편되고 도병마사는 도평의사사, 중추원은 밀직사로 명칭이 변경되었.. 2020. 12. 13.
한국사 정리 / 문벌귀족사회의 성립과 동요, 북방 민족과의 대외 관계 12. 문벌귀족 사회의 성립과 동요, 북방 민족과의 대외 관계 ● 문벌귀족 사회의 모순 ⑴ 이자겸의 난(1126) - 11세기 이래 대표적인 문벌 귀족인 경원 이씨 가문은 왕실의 외척이 되어 80여년간 정권을 잡았다. - 이자겸 세력은 대내적으로 문벌 중심의 질서를 유지하고, 대외 적으로 금과 타협하는 정치적 성향을 보였다. - 이자겸은 반대파를 제거하고 척준경과 함꼐 난을 일으켜 권력을 장악하였다.(1126) - 이자겸의 난은 중앙 지배층 사이의 분열을 드러냄으로써 문벌 귀족 사회의 붕괴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⑵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1135) - 서경파의 서경 천도 운동 : 자주적 혁신 정치 주장 - 칭제 건원과 금나라 정벌 주장 -> 개경 귀족 세력의 반대 - 묘청의 난 -> 김부식에게 진압.. 2020. 12. 11.
한국사 정리 / 고려의 통치 구조 11. 고려의 통치 구조 ● 중앙 통치 체제 - 중서 문하성 : 정책의 심의 결정, 재신(2품 이상) + 낭사(3품 이하) - 상서성, 6부 : 정책 집행 - 중추원 : 군사 기밀과 왕명의 출납, 추밀 + 승선 - 도병마사 : 재신 + 추밀, 원 간섭 이후 국가 최고 회의 기관으로 발전 - 식목도감 : 재신 + 추밀, 임시 기구로서 법과 시행 규칙을 제정한다. - 대간(대성, 성대) : 어사대 관원 + 중서문하성의 낭사 -> 왕권 견제 - 삼사 : 화폐와 곡식의 회계 출납 ● 지방 행정 조직 - 5도 : 안찰사가 파견되어 각 지역을 순회 - 양계(동계, 북계) : 북방의 국경 지대에는 양계를 설치하여 병마사를 파견하고, 국방상의 요충지에는 진을 설치 - 주군과 속군 : 주군에 파견된 수령이 몇 개의 속군.. 2020. 12. 6.
한국사 정리 / 고려 초기 왕들의 업적 10. 고려 초기 왕들의 업적 ● 태조의 정책 ⑴ 민생 안정 정책 : 지나친 세금 징수금지(취민유도), 흑창 설치 ⑵ 호족 통합 정책 - 호족 통제 : 사심관 제도, 기인 제도 - 호족 회유 : 공신에게 역분전 지급, 결혼정책, 사성정책 ⑶ 서경 중시 - 북진 정책을 위한 전진 기지 - 태조 말에는 청천강에서 영흥만까지 영토 확보 ⑷ 정계, 계백료서를 저술하고 훈요 10조를 남김 ● 광종의 개혁 정치 : 왕권 강화 정책 ⑴ 혜종, 정종 시기의 왕권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왕권 강화 정책 추진 ⑵ 노비안검법 시행( 광종 7년, 956 ), 과거제 실시( 광종 9년, 958 ) ⑶ 공복 제정( 광종 11년, 960 ) ⑷ 황제 호칭, 독자적 연호 사용( 광덕, 준풍 ) ⑸ 주현 공부법 : 주, 현 단위로 조세.. 2020. 12. 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