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9급 공무원/한국사

한국사 정리 / 3˙1 운동, 대한민국 임시 정부

by 바방 2021. 2. 8.
반응형

35. 3·1 운동, 대한민국 임시 정부

 

3-1 운동의 배경

 - 1차 세계 대전과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변화된 세계정세는 민족 문제에 대한 자각

 을 높이고 여러 지역에서 피압박 약소 민족의 해방을 고무시킴

 - 특히 1918년 윌슨의 민족 자결주의는 3-1운동의 대외적 영향으로 평가됨

 - 우리 독립 운동 세력들은 1917년 대동단결 선언, 1919년 대한 독립 선언, 1919년 2-8 

 독립선언을 통해 항일 운동의 역량을 결집시키려 함

 - 한편 조선 내에서는 1919년 1월 21일 고종이 승하하자 독살설이 유포되어 민족을 

 분노케 하였으며 3-1운동의 내적 기반이 됨

 

3-1운동의 전개 과정

 - 1919년 3월 1일 인사동 태화관에 모인 민족 대표들은 독립을 선언하고 만세를 부른 후

 일본 정부와 의회, 미국의 윌슨 대통령, 파리 강화 회의의 각국 대표들에게 독립 선언서와

 청원서를 송부함

 - 한편 파고다 공원에 운집한 학생들은 독립 선언서를 낭독하고 만세 운동을 전개

 - 일본군은 시위 군중을 대량으로 살상하고 수원 화성 인근의 제암리에서 집단 학살을 자행

 - 만세 시위가 주요 도시로부터 전국 농촌 각지로 확산되는 과정에서 무력 투쟁적 양상이 나타남

 

3-1 운동의 결과

 - 민족의 독립을 위한 열망을 세계에 과시하였고 이후 아시아 약소국가의 독립운동에 영향을 줌

 -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의 계기를 마련

 - 3-1 운동은 만주, 용정, 연해주, 미주, 일본 등으로 전파되어 우리 민족의 독립 의지를 세계 각

 지역에 알리는 결과를 가져옴

 - 일제는 문화 통치로 식민 정책을 바꿈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립

 - 국내에서 수립된 한성 정부를 정통으로 연해주의 대한 국민 의회를 흡수하여 상하이에

 통합 정부인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수립

 - 임시 정부는 이승만을 대통령으로, 이동휘를 국무총리로 선임

 -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입법 기관인 임시 의정원, 행정 기관인 국무원, 사법 기관인 법원

 으로 구성된 우리나라 최초의 삼권 분립에 입각한 민주 공화정체의 정부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개헌 과정

① 1차 개헌(1919. 9. 11.)

 - 대통령 지도제로서 대통령이 국정을 총괄

 - 이승만의 외교 독립론 등 임시 정부가 안고 있던 많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임시 

 정부의 개편이 필요했기 때문에 1923년 국민대표 회의가 개최됨

 - 임시 정부를 해체하고 새로운 정부를 조직해야 한다는 창조파와 임시 정부를 그래도 

 유지하면서 설정에 알맞게 보완해야 한다는 개조파의 주장이 팽팽히 맞서 회의가 결렬됨

② 2차 개헌(1925. 4. 7.) : 국무령을 수반으로 하는 내각 책임제로 개편됨

③ 3차 개헌(1927. 2. 25.) : 행정부를 임시 의정원에 예속시켜 국무위원 중심의 집단 지도 

 체제로 바뀜

④ 4차 개헌(1940. 5.) : 주석 지도 체제로 개편하며 행정부의 독자적 활동을 보장(주석 : 김구)

⑤ 5차 개헌(1944) : 주석의 권한을 강화하고 부주석을 신설(주석 : 김구, 부주석 : 김규식)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활동

 - 연통제 : 임시 정부의 비밀 행정 조직

 - 군자금 : 만주의 '이륭양행'과 부산의 '백산상회'를 통하여 임시 정부에 전달됨

 - 외교 활동 : 미국에 구미 위원부를 설치하여 활동

 - 중경 정부 시대에는 한국광복군을 창설하고(1940), 삼균주의(정치, 경제, 교육의 균등)를

 바탕으로 대한민국 건국 강령을 발표(1941)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