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9급 공무원/한국사

한국사 정리 / 의열단, 한인 애국단, 한중 연합 작전, 한국광복군

by 바방 2021. 2. 14.
반응형

37. 의열단, 한인 애국단, 한중 연합 작전, 한국광복군

 

의열단(1919, 김원봉)

① 조선 혁명 선언(1923, 신채호) : 의열단 선언문으로 작성

② 관련 의거

 - 부산 경찰서 투폭 의거(1920, 박재혁)

 - 일먕 경찰서 투폭 의거(1920, 최수봉)

 - 조선 총독부 투폭 의거(1921, 김익상)

 - 상해 일본군 다나카 육군 대장 저격 시도(1922, 오성륜-김익상 : 황포탄 의거)

 - 종로 경찰서 투폭 의거(1923, 김상옥)

 - 일본 궁성 이중교 투폭 의거(1924, 김지섭)

 - 동양 척식 주식 회사와 조선 식산 은행에 투폭(1926, 나석주)

 

한인 애국단(1931, 김구)

 - 일본 왕의 마차에 투폭(1932, 이봉창)

 - 상해 홍커우 공원 의거(1932, 윤봉길) : 중국 국민당 정부가 임시 정부를 적극적 지원하게 된 계기

 

1930년대 한중 연합 작전

 - 양세봉이 지휘하는 조선 혁명군 - 중국 의용군과 연합 - 영릉가, 홍경성 등지에서 일본군을 격퇴

 - 지청천이 지휘한 한국 독립군 - 중국 호로군과 연합 - 쌍성보 전투, 경박호 전투, 사도하자 전투,

대전자령 전투, 동경성 전투 등에서 일본군을 격퇴

 

조선 의용대(1938)

 - 김원봉이 조직한 무장 부대로서 중국 국민당과 함께 항일전을 전개

 - 중국 관내에서 조직된 최초의 조선인 무장 조직

 - 1942년 조선 의용대 일부가 한국광복군에 편입되어 광복군 1지대가 되었고 김원봉은 

 부사령관에 취임

 - 조선 의용대 화북 지대는 조선 독립 동맹에 편입되어 조선 의용군으로 개편됨 

 

한국광복군(1940)

 - 한국광복군은 연합군의 일원으로 태평양 전쟁에 참여함

 - 한영 군사 협정(1943)에 따라 10여 명의 비전투 요원들이 영국군과 함께 미얀마 전선 등에

 참전(주로 암호 분석, 포로 심문, 통역 및 심리전 활동)

 - 미 OSS 부대와 연합하여 국내 진입 계획을 세우지만 일제의 항복으로 실현되지 못함

 

 

※ 보충 설명

 

만주 사변

 - 1931년 일제가 남만주 철도 폭파 사건을 조작하고 이를 구실로 만주를 무력으로 점령한

 사건이다. 이듬해 일제는 괴뢰국인 만주국을 세워 대륙 침략의 근거지로 삼았다.

 

추수 투쟁-춘황 투쟁(1931)

 - 만주 사변 후 한인 공산주의자들은 소작료 인하와 농민들의 생존권 및 자치권 확보를 요구하며

 각지에서 소규모 유격대를 중심으로 항일 무장 투쟁을 전개하였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