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tc30 빈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빈대'는 노린재목 빈대과의 곤충으로, 지구상에는 총 75종(種)의 빈대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인간 흡혈과 관련된 종의 빈대(Insecta: Hemiptera: Cimicidae)에는 빈대(Cimex lectularius)와 반날개빈대(Cimex hemipterus)가 있다. 빈대의 성충은 크기가 약 5~6mm로 상하로 납작하게 눌린 난형이며 진한 갈색을 띤다. 하지만 흡혈 이후에는 몸이 부풀어 오르고, 몸 빛깔이 붉은색이 된다. 빈대의 작은턱은 2개의 관으로 되어 있는데 등쪽은 식구(食溝), 배쪽은 타액구(唾液溝)가 있어, 이 관으로 기주를 찔러 그 피를 빨아먹는다. 흡혈은 일주일에 약 1~2회로 약 10분간 몸무게의 2.5~6배 피를 흡혈하는데, 섭취한 혈액의 수분을 줄이기 위해.. 2023. 11. 22. 밸푸어 선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영국이 팔레스타인에 이스라엘의 "민족적 고향"을 건설하겠다는 아이디어에 지지를 보낸다. 1917년의 밸푸어 선언문은 이만한 파장을 몰고 온 문서 치고는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짧았다. 영국 외무부 장관 밸푸어 경이 영국내 유대인 사회의 대표 격인 로스차일드 경에게 보낸 한 페이지짜리 서신으로, 내각이 팔레스타인에 유대인들의 "민족적 고향"("국가"라는 표현을 쓰지 않았다)을 건설하는 것을 지지한다는 내용이었다. "영국 정부는 팔레스타인에 유대인들의 민족적 고향을 건설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팔레스타인의 기존 비유대인 주민들의 민권과 종교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는 행위가 행해지지 않을 것으로 명확히 이해한다…" 이렇듯 모호하고 모순적인 표현 때문에 이후 중동은 광란에 빠져들게 된다. 밸푸.. 2023. 10. 11. 북방한계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NLL ▶ 정의 유엔군사령관 클라크장군이 1953년 8월 30일 휴전 후 정전협정의 안정적 관리를 위하여 설정한 남북한의 실질적인 해상경계선. NLL ▶ 개설 휴전협상 의제 가운데 군사분계선 협상에서 유엔군 측과 공산 측은 그 기준을 38도선으로 할 것인지 당시 전선으로 할 것인지에 대해 논란이 있었다. 유엔군의 군사적 압력 속에 공산 측이 38선 안을 철회함으로써, 1951년 11월 하순 양측은 대치선을 군사분계선으로 한다는 원칙에 합의하였다. 그런데 이 당시 동서 해안의 해상경계선에 대해서는 남북한 사이에 명시적인 합의가 없었다. 이 때문에 유엔군 측에서는 서해상 당시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영해 기준 3해리를 고려하고 연평도·백령도 등 5개 도서와 북한지역과 개략적인 중간선을 기준으로 북방한계선을 설정했.. 2023. 10. 6. 구속영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구속영장은 피의자가 죄를 범하였다고 의심할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고, 일정한 주거가 없거나 증거를 인멸할 우려가 있는 때, 도망하거나 도망할 염려가 있는 때 피의자를 구속하기 위한 영장이다. 수사기관은 수사를 한 결과 범죄가 무겁고 죄질이 나쁘며 일정한 주거가 없거나 도망 또는 증거인멸의 염려가 있는 경우에는 피의자를 구속 할 수 있다. 구속을 하기 위하여는 판사가 발부한 구속영장이 있어야 한다. 구속영장은 사법경찰관 또는 검사의 청구에 의하여 관할 지방법원의 판사가 발부한다. 이때 신병이 확보된 피의자에 대한 구속영장은 통상 '사후구속영장'으로,확보되지 않은 피의자는 '사전구속영장'으로 나누어 부른다. ■ 사전구속영장 사전구속영장은 범죄 혐의가 확실하지만 체포하지 못한 피의자에 대해 영장 실질심사를 받.. 2023. 9. 25. 이전 1 2 3 4 5 6 ··· 8 다음 728x90 반응형